[IT] AI 지형도_텍스트 생성 및 챗봇
![이미지](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2AQVSZ4tvMS-BBUYTWB7BySVy4gycttmztx26EQp4Y5iEp-BqXppoc_ibyPrnEBSmRv54aDuvDdrO7Gx6cUW3KKXTg3VXZWpg-QffYcN5flQBN9Wyb4njnlLADzzdQN7lSfNI3Px2hOfE0gj_ceIh87FU1na9OzaqI8USsCT-zi6PKXu4_QATk6_vejO3/w640-h360/150041_158998_292.png)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 대표 업체 120곳 소개 AI 지형도(사진, 데이 브레이크) '챗GPT'와 같은 텍스트 생성 인공지능(AI) 분야에 최소 700개 이상의 기업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벤처비트는 18일(현지시간) 기술 연구 전문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가 텍스트 생성 AI 업계를 10개 분야로 나누고 대표적인 업체 120여곳을 포진시킨 업계 지형도를 소개했다. 데이 브레이크는 텍스트 생성 AI 업계를 분야에 따라 ▲텍스트 요약 ▲감정 분석 ▲텍스트 번역(이상 텍스트 분석) ▲가상 비서 ▲챗봇 구축 플랫폼 ▲챗봇 프레임워크 및 NLP 엔진(이상 대화형 AI) ▲글쓰기 도구 ▲코드 생성 ▲검색 ▲언어 모델 등 10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해당 업체를 명시했다. 아래와 같은 카테고리별 설명도 곁들였다.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는 이처럼 챗GPT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제품은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으며 매일 추가되는 추세라고 전했다. ■ 텍스트 요약(Text summarization) AI를 이용해 긴 텍스트에서 중요한 정보를 식별하고 짧은 문장으로 요약하는 기능이다. 비슷한 기능으로는 키워드 추출, 텍스트 분류 및 개체명 인식이 있다. 대표 기업으로는 퀼봇(QuillBot), 업워드(Upword), 스페이시(spaCy) 등을 꼽았다. ■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 텍스트의 감정을 긍정적,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물론 텍스트 이면의 어조와 감정, 의도를 읽어낸다. 감정 분석은 소비자의 피드백과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한다. 몽키런(MonkeyLearn), 레퓨스테이트(Repustate), 코히어(Cohere) 등이 이 분야의 회사다. ■ 텍스트 번역(Text translation) 딥엘(DeepL), 모던MT(ModernMT), 텍스트유나이티드(TextUnited), 프레이즈AI(PhraseAI) 등 AI 전문 번역 업체가 해당된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도 제공한다. ■ 가상 비서(Virt...